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#고클린
- leetcode
- java
- #abex크랙미4번
- #심플즈
- #크랙미4번
- Easy
- springframework
- #리버싱
- #보안이슈
- #심플즈 크랙미
- #크랙미 10번
- #크랙미3번
- 리버싱
- #abex크랙미
- #크랙미
- GraphQL
- #크랙미2번
- #파밍
- Spring
- #크랙미 9번
- #abex
- #보안뉴스
- java8
- #크랙미 5번
- Today
- Total
목록개발 지식/OS (16)
Halo World
1. UNIX에서 쉘(Shell)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 ① 사용자 명령을 받아 해석하고 수행시키는 명령어 해석기이다. ② 프로세스 관리, 기억장치 관리, 파일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. ③ 시스템과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. ④ 커널처럼 메모리에 상주하지 않기 때문에 필요할 경우 교체될 수 있다. ② 프로세스 관리, 기억장치 관리, 파일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쉘이 아니라 커널이다. 2. UNIX에서 커널의 수행 기능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? ㉠ 명령어 해동 ㉡ 프로세스 관리 ㉢ 기억장치 관리 ㉣ 입/출력장치 관리 ① ㉠,㉢ ② ㉠,㉡,㉣ ③ ㉡,㉢,㉣ ④ ㉠,㉡,㉢,㉣ ③ 명령어 해독은 쉘의 수행 기능이다.
리눅스는 커널이라고 불리는 하드웨어를 직접 제어하는 부분과 그 위에 커널에 명령을 주는 하나 이상의 쉘로 구성되어 있다. | 커널(Kernel) - 하드웨어를 직접 제어하는 UNIX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- 쉘에서 명령을 받아 수행함- 컴퓨터의 시스템 자원들을 관리- 컴퓨터가 부팅될 때 주기억장치에 적재된 후 상주하면서 실행됨- 하드웨어를 보호하고,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담당- 프로세스(CPU 스케줄링) 관리, 기억장치 관리, 파일 관리, 입/출력 관리, 프로세스간 통신, 데이터 전송 및 변환 등 여러가지 기능을 수행 | 쉘(Shell) - 사용자의 명령어를 인식하여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명령을 수행하는 명령어 해석기- 쉘이 존재해야 커널에게 명령을 전달할 수 있음- 시스템과 사용자 간..
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이 운영체제에 치명적인 데이터에 접근하여 수정하거나 삭제하지 못하게 막기 위해 유저모드와 커널모드의 두 가지 모드를 지원한다.프로세서는 유저 모드보다 커널 모드에 높은 권한을 줌으로써 오동작을 유발하는 유저 어플리케이션 등이 시스템 전체에 안전성을 해치지 않게 보장하는 필수 기반을 운영체제 설계자에게 제공한다. 각 프로세스들은 고유한 개별 메모리 공간을 가지지만 커널 모드 운영체제와 디바이스 드라이버 코드는 단일 가상주소 공간을 공유한다. 가상 메모리 내의 각 페이지에는 페이지를 읽고 쓰기 위해 프로세서가 가져야하는 접근 모드가 무엇인지 표시되어 있으며, 시스템 공간의 페이지는 커널모드에서만 접근 가능하다. | 유저모드 - 유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- 커널 모드에서 접근할 수 있는 ..
| 최적 교체(Optimal Replacement) - Belady가 제안한 기법으로 Belady의 MIN 페이지 교체 기법이라고도 함 - 현재 주기억 장치에 적재되어있는 페이지들 중 현재 시점 이후로 가장 오랫동안 참조되지 않을 페이지를 교체함 - 효율이 가장 좋고 Belady의 모순이 발생하지 않음 - 단점 > 구현이 어렵고 복잡 | 선입 선출(FIFO) - 각 페이지가 주기억장치로 들어올 때마다 타임스탬프를 찍어 그 시간을 기억하고 있다가 페이지가 교체될 필요가 있을 때, 가장 먼저 주기억 장치에 들어 있는 페이지와 교체시키는 방법 - 가장 간단한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- 단점 > 중요한 페이지가 오랫동안 있었다는 이유만으로 교체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음 > Belady의 모순 발생 가능 : 프로..
1. OS 메모리 영역을 그리고 각 영역을 간단히 설명하시오. 2. 3개의 페이지 프레임(Frame)을 가진 기억장치에서 페이지 요청을 다음과 같은 페이지 번호 순으로 요청했을 때 교체 알고리즘으로 FIFO 방법을 사용한다면 몇 번의 페이지 부재가 발생하는가? (단, 현재 기억장치는 모두 비어있다고 가정한다.) 요청된 페이지 번호의 순서 2, 3, 2, 1, 5, 2, 4, 5, 3, 2, 5, 2, 1 ① 7번 ② 8번 ③ 9번 ④ 10번 3. 4개의 페이지를 수용할 수 있는 주기억장치가 있으며, 초기에는 모두 비어있다고 가정한다. 다음의 순서로 페이지 참조가 발생할 때, LRU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을 사용할 경우 몇 번의 페이지 결함이 발생하는가? 페이지 참조 순서 : 1, 2, 3, 1, 2, 4,..
| 스택(Stack) 영역 -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사용하는 임시 메모리 영역 - 지역(local)변수, 매개변수, 리턴 값과 같은 임시로 사용하는 것들에 대한 영역 - 매개변수와 리턴 값은 함수 호출 시 생성, 함수 수행이 끝나면 반환 - 스택 사이즈는 각 프로세스마다 할당되지만, 프로세스가 메모리에 로드될 때 스택 사이즈가 고정되어 있어, 런타임 시에 스택 사이즈를 바꿀 수는 없음 - 명령 실행 시 자동으로 증가/감소하기 때문에 보통 메모리의 마지막 번지를 지정 | 힙(Heap) 영역 - new(), malloc() 등을 이용하는 동적 할당 객체에 대한 영역 - 메모리 주소 값에 의해서만 참조되고 사용되는 영역 - 대개 포인터 변수를 통해 동적으로 할당받고 돌려줌 | BSS 영역 - 초기화되지 않은 데..